책소개
이 책에서 저자들은 《논어》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고대 유가의 배움의 공동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속에서 인간의 성장과 변화를 어떻게 도모했는지를 독자에게 생생히 전달한다.
유학은 역사가 긴 만큼 문제의식과 사유의 갈래가 다양하고, 《논어》와 공자의 행적에서 드러나는 초기 유학과 한나라 시대 이후 관변화되면서 확립된 제국의 유학은 차이가 크다. 또한 도가사상은 역사에서 실현된 유가의 이념이 가진 한계와 문제를 비판함으로써 그 견제자로서 동아시아 문화에 활력과 역동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렇지만 초기 유가든 한나라 시대 이후의 유가든, 또는 유가든 도가든, 모두 현대의 자본주의적 삶을 지탱하는 기본 사유 방식과는 매우 거리가 멀고 해소할 수 없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사유의 독특한 특징은 종종 ‘전근대성’이나 ‘반(反)근대성’이라는 부정적 의미를 함축한 단어로 소환되곤 한다.
여기서 반근대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시장의 흐름을 저지하거나 그것에 역행하는 힘이다. 상품은 자본주의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오늘날처럼 모든 것을 상품화하는 시장의 논리가 공동체를 독식하고 개인의 삶을 붕괴한 적은 없었다. 긴 역사의 시간 동안 이를 저지하는 사유의 기제가 광범위하게 작동했기 때문이다. 유가의 또 다른 고전 《맹자》의 첫머리에서 맹자는 공동체의 담론에서 어떤 경우라도 이익이 아닌 인간다움으로서의 사랑과 정의가 최우선 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익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라기보다 어떤 종류의 이익을 추구하든 그보다 우선하면서 그것을 규제하는 상위의 원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사유가 지배적인 공동체의 구성원은 신 안에서, 예술 안에서, 때로는 배움 안에서 서로 사랑하는 일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시절을 살 수 있었다.
우리 시대에는 이 사랑을 지켜 내기가 참 어려운 것 같다. 우리는 주변의 모든 존재를 상품이나 상품의 가치를 높이는 데 필요한 부속물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도 상품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평가하며 더 나은 상품이 되려고 애쓰며 살아간다. 공동체의 취약한 구성원을 보호하고, 넘쳐 나는 재화가 궁핍한 이를 향해 흘러가게 함으로써, 특정한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풍요롭게 해야 한다는 관념은 이제 많은 사람에게, 특히 공동체를 위해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실행하는 위치에 있는 이에게, 고루하고 현실성이 없으며 심지어 불공정한 발상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인간은 여전히 서로 사랑하는 일을 멈추지 않는다. 다만 사랑이 유지되는 공동체가 시장 논리의 압력으로 찌부러져서 가족 단위로 축소되었을 뿐이다. 가족 안에서도 이러한 사랑을 확인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제 우리는 친밀한 관계조차 거래의 관점에서 보는 일이 잦아졌다.
“삶은 예술작품이다.”
사랑은 어떻게 삶을 아름답게 하는가
저자들은 우리 자신과 우리의 일부를 거래 대상으로만 여기는 자본주의적 삶에서 멀어지기 위해 예술작품의 관념을 도입한다. 우리의 삶은 상품이 아니라 ‘예술작품’이다. 물론 예술작품이 소더비즈 같은 경매회사를 통해 수십억, 수백억에 거래되는 현실에서 예술작품 역시 상품이 아니라고 주장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예술작품은 시장경제에 속해 있을 때조차도 상품으로 환원할 수 없는 성격이 있다’는 말처럼, 예술작품에는 ‘선물’로서의 성격이 있다. 시인이 자신이 쓴 시를 누군가에게 무료로 들려준다고 해서 시의 예술적 성격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다른 사람에게 전해져 그 마음에 깊은 울림을 남길 수만 있다면 시는 예술작품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시집을 구매해서 소유해도 그 시집을 한 번도 열어 보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저 얼마짜리 상품일 뿐 예술작품이 아니다. 선물처럼 누군가에게 건네져 기쁨이나 슬픔의 울림을 만들어 낼 때 그것은 예술작품으로 존재한다.
시장 논리가 정신과 육체에 각인되기 훨씬 전에 등장한 공자의 사상과 《논어》를 둘러싼 많은 사람의 이야기를 살펴보면서, 저자들은 인간의 삶을 일종의 기능 실현, 특히 사회가 요구하는 기능 실현의 과정으로 보는 관점에 맞설 수 있는 사유의 단초를 찾아내려 했다. 바로 선물처럼 순환하는 예술과 배움 안에서 생각과 감정을 나누고 확인하는 사랑의 공적인 능력이 우리에게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능력을 키우는 배움의 과정에 ‘미적교육’의 성격이 있다는 점을 밝히려 했다.
사랑의 공적 능력이 개개인에게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은 현대사회에서 마구잡이로 왜곡되고 침해당하는 공공적 가치를 방어하고 보호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이런 낙관적 전망에서 출발한다. 어쩌면 이 낙관성은 현실과 역사에 관한 냉철한 분석 능력을 충분히 겸비하지 못한 채, 한 권의 고전을 앞에 두고 몽상하길 좋아하는 두 철학 전공자의 순진함에서 비롯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우리의 몽상에 현실적 생기를 입히고 채워 줄 다정한 조언에 계속 귀를 기울이고 보충하려고 한다. 평생 현실 정치에서 제대로 채택되지 못한 정치적 이상에 관해 지치지 않고 생각하고 다른 이와 대화한 공자처럼, 열린 배움의 과정을 천천히 따라가다 보면 저자들의 사유가 더 아름답게 무르익을 것이다.
책을 집필하는 과정은 개방적이고 느린 대화의 장이었다. 프롤로그, 1장, 4장의 일부, 에필로그는 서양철학을 전공하고 시를 쓰는 저자(진은영)가, 《논어》의 내용과 공자의 일화를 소개하고 음미하는 2~5장은 동양철학을 전공하고 인문상담을 가르치는 저자(김경희)가 초고를 맡았다. 작성된 초고들을 가지고 함께 토론하고 서로의 견해를 확인하여, 여러 차례 바꿔 가면서 가필해 나간 작업은 그 자체로 서로 배우고 대화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강물처럼 흘러가는 삶에서 공자와 그 제자들이 놓은 사유의 징검다리를 건너 또 다른 삶의 풍경을 만나는 데 이 책이 부족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을 쓰는 내내 저자들은 배움 안에서 인간에 관한 사랑을 이야기하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담론에 매혹되었다고 한다. 독자들도 함께 매혹될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
prologue
1. 미적교육에 관한 일곱 가지 이야기
아름다움과 미적태도|독자가 더 많은 아름다움을 발명한다|아름다움은 더불어 느낄수록 더 즐겁다|예술의 전문가라기보다 삶의 전문가: 군자불기(君子不器)|미적교육은 아마추어를 추앙한다|차이를 만드는 대화적 대화|삶이 되려는 예술, 삶을 넘어서는 예술
2. 시를 통한 미적교육
《논어》는 체계 없는 잡다한 훈계록인가|시 한 줄로 예에 관해 대화를 나누다|시처럼 간결하고 모호한 《논어》의 문답|시는 ‘더불어 말하는 것’이다|제자들의 시 교육에 진심이었던 공자|아들에게도 각별히 당부한 시 공부
3. 삶의 미학화
한 줄의 시처럼 표현된 인생관|삶의 진상을 응시하기|삶을 제대로 모르면서,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신도 동물도 아닌 존재의 탄생|삶의 무의미를 넘어서는 의미 창조|고대 유가의 미학적 태도: 살신성인|허무주의와 미학적 삶|집대성, 예술작품으로서의 삶
4. 유럽의 댄디와 유가의 군자
댄디즘과 예술적 삶|정나라의 댄디가이, 숙(叔)|모든 사람을 위한 유가의 댄디즘|신체 언어의 대가, 공자|인간다움과 예|예는 관계의 예술|고대 유가의 강건한 댄디|인간다움이라는 영원한 질문|다른 이를 사랑하는 일: 인(仁)|진정한 사랑의 태도: 충서(忠恕)|그대 얼굴에 어린 슬픈 빛: 자고인서(子羔仁恕)|삶을 뛰어넘는 삶: 증점지락(曾㸃之樂)
5. 치유와 성장을 위한 삶의 서사
인문예술교육가 공자|일인칭 목소리의 힘|공자의 경이로운 자기 공개|사마천이 전하는 공자의 삶|생애 서사를 통한 대화적 교육|서사의 치유적 힘|공자와 함께|배움의 공동체: 기쁨, 즐거움, 노여워하지 않음
epilogue
책소개
이 책에서 저자들은 《논어》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고대 유가의 배움의 공동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속에서 인간의 성장과 변화를 어떻게 도모했는지를 독자에게 생생히 전달한다.
유학은 역사가 긴 만큼 문제의식과 사유의 갈래가 다양하고, 《논어》와 공자의 행적에서 드러나는 초기 유학과 한나라 시대 이후 관변화되면서 확립된 제국의 유학은 차이가 크다. 또한 도가사상은 역사에서 실현된 유가의 이념이 가진 한계와 문제를 비판함으로써 그 견제자로서 동아시아 문화에 활력과 역동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렇지만 초기 유가든 한나라 시대 이후의 유가든, 또는 유가든 도가든, 모두 현대의 자본주의적 삶을 지탱하는 기본 사유 방식과는 매우 거리가 멀고 해소할 수 없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사유의 독특한 특징은 종종 ‘전근대성’이나 ‘반(反)근대성’이라는 부정적 의미를 함축한 단어로 소환되곤 한다.
여기서 반근대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시장의 흐름을 저지하거나 그것에 역행하는 힘이다. 상품은 자본주의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오늘날처럼 모든 것을 상품화하는 시장의 논리가 공동체를 독식하고 개인의 삶을 붕괴한 적은 없었다. 긴 역사의 시간 동안 이를 저지하는 사유의 기제가 광범위하게 작동했기 때문이다. 유가의 또 다른 고전 《맹자》의 첫머리에서 맹자는 공동체의 담론에서 어떤 경우라도 이익이 아닌 인간다움으로서의 사랑과 정의가 최우선 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익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라기보다 어떤 종류의 이익을 추구하든 그보다 우선하면서 그것을 규제하는 상위의 원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사유가 지배적인 공동체의 구성원은 신 안에서, 예술 안에서, 때로는 배움 안에서 서로 사랑하는 일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시절을 살 수 있었다.
우리 시대에는 이 사랑을 지켜 내기가 참 어려운 것 같다. 우리는 주변의 모든 존재를 상품이나 상품의 가치를 높이는 데 필요한 부속물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도 상품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평가하며 더 나은 상품이 되려고 애쓰며 살아간다. 공동체의 취약한 구성원을 보호하고, 넘쳐 나는 재화가 궁핍한 이를 향해 흘러가게 함으로써, 특정한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풍요롭게 해야 한다는 관념은 이제 많은 사람에게, 특히 공동체를 위해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실행하는 위치에 있는 이에게, 고루하고 현실성이 없으며 심지어 불공정한 발상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인간은 여전히 서로 사랑하는 일을 멈추지 않는다. 다만 사랑이 유지되는 공동체가 시장 논리의 압력으로 찌부러져서 가족 단위로 축소되었을 뿐이다. 가족 안에서도 이러한 사랑을 확인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제 우리는 친밀한 관계조차 거래의 관점에서 보는 일이 잦아졌다.
“삶은 예술작품이다.”
사랑은 어떻게 삶을 아름답게 하는가
저자들은 우리 자신과 우리의 일부를 거래 대상으로만 여기는 자본주의적 삶에서 멀어지기 위해 예술작품의 관념을 도입한다. 우리의 삶은 상품이 아니라 ‘예술작품’이다. 물론 예술작품이 소더비즈 같은 경매회사를 통해 수십억, 수백억에 거래되는 현실에서 예술작품 역시 상품이 아니라고 주장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예술작품은 시장경제에 속해 있을 때조차도 상품으로 환원할 수 없는 성격이 있다’는 말처럼, 예술작품에는 ‘선물’로서의 성격이 있다. 시인이 자신이 쓴 시를 누군가에게 무료로 들려준다고 해서 시의 예술적 성격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다른 사람에게 전해져 그 마음에 깊은 울림을 남길 수만 있다면 시는 예술작품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시집을 구매해서 소유해도 그 시집을 한 번도 열어 보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저 얼마짜리 상품일 뿐 예술작품이 아니다. 선물처럼 누군가에게 건네져 기쁨이나 슬픔의 울림을 만들어 낼 때 그것은 예술작품으로 존재한다.
시장 논리가 정신과 육체에 각인되기 훨씬 전에 등장한 공자의 사상과 《논어》를 둘러싼 많은 사람의 이야기를 살펴보면서, 저자들은 인간의 삶을 일종의 기능 실현, 특히 사회가 요구하는 기능 실현의 과정으로 보는 관점에 맞설 수 있는 사유의 단초를 찾아내려 했다. 바로 선물처럼 순환하는 예술과 배움 안에서 생각과 감정을 나누고 확인하는 사랑의 공적인 능력이 우리에게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능력을 키우는 배움의 과정에 ‘미적교육’의 성격이 있다는 점을 밝히려 했다.
사랑의 공적 능력이 개개인에게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은 현대사회에서 마구잡이로 왜곡되고 침해당하는 공공적 가치를 방어하고 보호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이런 낙관적 전망에서 출발한다. 어쩌면 이 낙관성은 현실과 역사에 관한 냉철한 분석 능력을 충분히 겸비하지 못한 채, 한 권의 고전을 앞에 두고 몽상하길 좋아하는 두 철학 전공자의 순진함에서 비롯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우리의 몽상에 현실적 생기를 입히고 채워 줄 다정한 조언에 계속 귀를 기울이고 보충하려고 한다. 평생 현실 정치에서 제대로 채택되지 못한 정치적 이상에 관해 지치지 않고 생각하고 다른 이와 대화한 공자처럼, 열린 배움의 과정을 천천히 따라가다 보면 저자들의 사유가 더 아름답게 무르익을 것이다.
책을 집필하는 과정은 개방적이고 느린 대화의 장이었다. 프롤로그, 1장, 4장의 일부, 에필로그는 서양철학을 전공하고 시를 쓰는 저자(진은영)가, 《논어》의 내용과 공자의 일화를 소개하고 음미하는 2~5장은 동양철학을 전공하고 인문상담을 가르치는 저자(김경희)가 초고를 맡았다. 작성된 초고들을 가지고 함께 토론하고 서로의 견해를 확인하여, 여러 차례 바꿔 가면서 가필해 나간 작업은 그 자체로 서로 배우고 대화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강물처럼 흘러가는 삶에서 공자와 그 제자들이 놓은 사유의 징검다리를 건너 또 다른 삶의 풍경을 만나는 데 이 책이 부족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을 쓰는 내내 저자들은 배움 안에서 인간에 관한 사랑을 이야기하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담론에 매혹되었다고 한다. 독자들도 함께 매혹될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
prologue
1. 미적교육에 관한 일곱 가지 이야기
아름다움과 미적태도|독자가 더 많은 아름다움을 발명한다|아름다움은 더불어 느낄수록 더 즐겁다|예술의 전문가라기보다 삶의 전문가: 군자불기(君子不器)|미적교육은 아마추어를 추앙한다|차이를 만드는 대화적 대화|삶이 되려는 예술, 삶을 넘어서는 예술
2. 시를 통한 미적교육
《논어》는 체계 없는 잡다한 훈계록인가|시 한 줄로 예에 관해 대화를 나누다|시처럼 간결하고 모호한 《논어》의 문답|시는 ‘더불어 말하는 것’이다|제자들의 시 교육에 진심이었던 공자|아들에게도 각별히 당부한 시 공부
3. 삶의 미학화
한 줄의 시처럼 표현된 인생관|삶의 진상을 응시하기|삶을 제대로 모르면서,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신도 동물도 아닌 존재의 탄생|삶의 무의미를 넘어서는 의미 창조|고대 유가의 미학적 태도: 살신성인|허무주의와 미학적 삶|집대성, 예술작품으로서의 삶
4. 유럽의 댄디와 유가의 군자
댄디즘과 예술적 삶|정나라의 댄디가이, 숙(叔)|모든 사람을 위한 유가의 댄디즘|신체 언어의 대가, 공자|인간다움과 예|예는 관계의 예술|고대 유가의 강건한 댄디|인간다움이라는 영원한 질문|다른 이를 사랑하는 일: 인(仁)|진정한 사랑의 태도: 충서(忠恕)|그대 얼굴에 어린 슬픈 빛: 자고인서(子羔仁恕)|삶을 뛰어넘는 삶: 증점지락(曾㸃之樂)
5. 치유와 성장을 위한 삶의 서사
인문예술교육가 공자|일인칭 목소리의 힘|공자의 경이로운 자기 공개|사마천이 전하는 공자의 삶|생애 서사를 통한 대화적 교육|서사의 치유적 힘|공자와 함께|배움의 공동체: 기쁨, 즐거움, 노여워하지 않음
epi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