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확인
위치확인
051-628-2897
부산시 수영구 수영로408번길 28
인디고 서원
소유는 간결하게, 삶은 풍요롭게!
위대한 삶의 혁명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불멸의 고전 『월든』을 통해
세상에 휩쓸리지 않고 나를 지키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50만 독자가 사랑한 작가 정여울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처럼 도심 속 일상에서 자신만의 주체적이고 건강하며 자연친화적인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한 흔적을 담은 에세이다. 더불어 직접 소로의 고향인 콩코드 지역과 월든 호수를 다녀온 기록을 생생한 사진으로 담아내 소로의 흔적과 정취를 느껴볼 수 있다.
150년이 넘도록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소로의 대표작 『월든』은 소로가 1847년부터 2년 2개월간 월든 호수 근처에 오두막을 짓고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재화만으로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개인으로 살아가는 삶을 담은 기록이다. 콘크리트로 점철된 도시에서 무한 경쟁에 내몰리며 과도한 노동과 불필요한 소비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볼 틈도 없이 살았던 저자는 『월든』을 통해 단 한 번뿐인 소중한 삶을 어떻게 나답고 진정성 있게 살아갈 것인지 깨달아 간다. 더불어 자연과 공생하며 살아간 소로의 삶을 살펴보며 심각한 기후위기에 직면한 오늘날 덜 먹고, 덜 쓰고, 덜 버리는 생활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이 책은 익숙하지만 쉽게 완독하기 어려웠던 고전 『월든』을 정여울 작가만의 섬세한 언어로 풀어내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살면서 마주하는 수많은 난제를 소로의 문장을 빌려 풀어보고, 삶의 균형을 지키며 살아가는 소로의 삶의 방식을 정여울 작가의 깊은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내가 숲으로 들어간 이유는 삶의 빛나는 정수만을 간절히 체험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_ 헨리 데이비드 소로
처음으로 자기만의 월세방을 갖게 된 날, 고독을 필요로 했지만 그것이 삭막함으로 연결되자 당황스러웠던 저자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뜰이나 정원이 없는 공간에서 비로소 『월든』이 진정으로 마음의 문을 두드렸다고 고백한다.
자칫 홀로 숲으로 들어간 괴짜, 현실로부터 일탈한 자로 오해받기 쉬운 소로는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삶과 사람을 사랑했던 이였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소로의 삶을 찬찬히 깊게 들여다보고 소로의 문장 하나하나를 애틋하게 아끼는 저자 특유의 감성이 짙게 묻어난다. 본문 곳곳에는 저자가 직접 다녀온 콩코드와 월든 호수의 풍경, 소로와 관련된 굿즈 사진 70여 장이 배치되어 생생한 현장감과 흥미를 더한다. 마치 정여울 작가가 월든 호수로 떠난 여정을 독자가 함께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기에 책을 덮고 나도 따듯한 여운이 남는다.
크게 2부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저자는 두 가지 방식의 『월든』 읽기를 시도한다. 1부에서는 열정, 용기, 고독, 존엄, 자유, 저항, 간결함, 치유, 희망 등 소로가 추구했던 삶의 가치를 저자 자신의 이야기와 교차하며 진솔하게 담아낸다. 2부에서는 생활경제, 인문학, 윤리학, 생태학의 네 가지 방향에서 『월든』의 문장을 직접 번역해 인용하면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소로의 말이 유효한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소로는 ‘자발적 가난’과 ‘자발적 은둔’이 우리에게 창조적 기쁨과 진정한 자유를 준다고 말한다.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는 현대인을 향해 소로는 소비를 향한 욕망 자체로부터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기를 권한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쉴 새 없이 접하는 정보에 중독되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 삶을 허비하는 우리들에게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적극적인 고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로는 자신의 꿈을 스스로 정하고 그 꿈을 따라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데는 타인의 조언이 아니라 오직 자기 자신과의 대면만이 필요함을 알았다. 그것이 바로 소로 식의 명랑한 고독, 창조적 고독”이다.(본문 204쪽) 월든 오두막을 통해 적정량의 고독을 쟁취해 낸 소로처럼 이 책은 독자들이 명랑한 은둔과 자발적 가난으로 자본 바깥의 삶, 자신만의 가능성과 존엄을 지킬 수 있는 삶을 지향하는 데 길벗이 되어줄 것이다.
위대한 삶의 혁명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불멸의 고전 『월든』을 통해
세상에 휩쓸리지 않고 나를 지키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50만 독자가 사랑한 작가 정여울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처럼 도심 속 일상에서 자신만의 주체적이고 건강하며 자연친화적인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한 흔적을 담은 에세이다. 더불어 직접 소로의 고향인 콩코드 지역과 월든 호수를 다녀온 기록을 생생한 사진으로 담아내 소로의 흔적과 정취를 느껴볼 수 있다.
150년이 넘도록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소로의 대표작 『월든』은 소로가 1847년부터 2년 2개월간 월든 호수 근처에 오두막을 짓고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재화만으로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개인으로 살아가는 삶을 담은 기록이다. 콘크리트로 점철된 도시에서 무한 경쟁에 내몰리며 과도한 노동과 불필요한 소비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볼 틈도 없이 살았던 저자는 『월든』을 통해 단 한 번뿐인 소중한 삶을 어떻게 나답고 진정성 있게 살아갈 것인지 깨달아 간다. 더불어 자연과 공생하며 살아간 소로의 삶을 살펴보며 심각한 기후위기에 직면한 오늘날 덜 먹고, 덜 쓰고, 덜 버리는 생활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이 책은 익숙하지만 쉽게 완독하기 어려웠던 고전 『월든』을 정여울 작가만의 섬세한 언어로 풀어내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살면서 마주하는 수많은 난제를 소로의 문장을 빌려 풀어보고, 삶의 균형을 지키며 살아가는 소로의 삶의 방식을 정여울 작가의 깊은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내가 숲으로 들어간 이유는 삶의 빛나는 정수만을 간절히 체험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_ 헨리 데이비드 소로
처음으로 자기만의 월세방을 갖게 된 날, 고독을 필요로 했지만 그것이 삭막함으로 연결되자 당황스러웠던 저자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뜰이나 정원이 없는 공간에서 비로소 『월든』이 진정으로 마음의 문을 두드렸다고 고백한다.
자칫 홀로 숲으로 들어간 괴짜, 현실로부터 일탈한 자로 오해받기 쉬운 소로는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삶과 사람을 사랑했던 이였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소로의 삶을 찬찬히 깊게 들여다보고 소로의 문장 하나하나를 애틋하게 아끼는 저자 특유의 감성이 짙게 묻어난다. 본문 곳곳에는 저자가 직접 다녀온 콩코드와 월든 호수의 풍경, 소로와 관련된 굿즈 사진 70여 장이 배치되어 생생한 현장감과 흥미를 더한다. 마치 정여울 작가가 월든 호수로 떠난 여정을 독자가 함께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기에 책을 덮고 나도 따듯한 여운이 남는다.
크게 2부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저자는 두 가지 방식의 『월든』 읽기를 시도한다. 1부에서는 열정, 용기, 고독, 존엄, 자유, 저항, 간결함, 치유, 희망 등 소로가 추구했던 삶의 가치를 저자 자신의 이야기와 교차하며 진솔하게 담아낸다. 2부에서는 생활경제, 인문학, 윤리학, 생태학의 네 가지 방향에서 『월든』의 문장을 직접 번역해 인용하면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소로의 말이 유효한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소로는 ‘자발적 가난’과 ‘자발적 은둔’이 우리에게 창조적 기쁨과 진정한 자유를 준다고 말한다.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는 현대인을 향해 소로는 소비를 향한 욕망 자체로부터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기를 권한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쉴 새 없이 접하는 정보에 중독되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 삶을 허비하는 우리들에게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적극적인 고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로는 자신의 꿈을 스스로 정하고 그 꿈을 따라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데는 타인의 조언이 아니라 오직 자기 자신과의 대면만이 필요함을 알았다. 그것이 바로 소로 식의 명랑한 고독, 창조적 고독”이다.(본문 204쪽) 월든 오두막을 통해 적정량의 고독을 쟁취해 낸 소로처럼 이 책은 독자들이 명랑한 은둔과 자발적 가난으로 자본 바깥의 삶, 자신만의 가능성과 존엄을 지킬 수 있는 삶을 지향하는 데 길벗이 되어줄 것이다.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_ 서랍에 월든을 숨겨두다
들어가기 전에_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생애
1부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열정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따스한 사랑
산책 걷고 또 걸음으로써 치유되는 마음
용기 어제까지의 낡은 인생과 작별하다
고독 도시인의 고독이 쓰라리고 아픈 이유
거리두기 감정노동을 반복하는 삶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권리
친구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
존엄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기
자기 집중 눈물수집가: 내 직업에 새로운 이름을 짓다
자기 발견 나 자신과 만나려는 모든 실험
해방 ‘스펙과 프로필’ 감옥으로부터의 탈출
저항 소유와 수동성, 착취로부터의 해방
간결함 당신에게는 몇 개의 의자가 필요한가요
치유 ‘녹색 손가락’을 꿈꾸며
희망 그저 거기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찬 기쁨
미래 1 자본 바깥의 삶(스콧 니어링과 헨렌 니어링)
미래 2 지금 실현가능한 작은 유토피아(타샤 튜더)
미래 3 또 하나의 월든을 창조한 사람(베아트릭스 포터)
야생성 도시인이 잃어버린 원초적 생명력
은둔 명랑한 은둔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2부 더 나은 삶을 위해 『월든』 속으로 걸어가다
월든의 생활경제_ 의식주를 독립적으로 해결하기
월든의 인문학_ 삶의 시간을 아름답게 수놓는 법
월든의 윤리학_ 단 한 번뿐인 삶을 나답게
월든의 생태학_ 자연과 공생하는 삶을 꿈꾸며
에필로그_ 『월든』을 읽을 때마다, 우리는 강해진다
작가의 말_ 소로와 함께 생각의 오솔길을 걷다
프롤로그_ 서랍에 월든을 숨겨두다
들어가기 전에_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생애
1부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열정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따스한 사랑
산책 걷고 또 걸음으로써 치유되는 마음
용기 어제까지의 낡은 인생과 작별하다
고독 도시인의 고독이 쓰라리고 아픈 이유
거리두기 감정노동을 반복하는 삶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권리
친구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
존엄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기
자기 집중 눈물수집가: 내 직업에 새로운 이름을 짓다
자기 발견 나 자신과 만나려는 모든 실험
해방 ‘스펙과 프로필’ 감옥으로부터의 탈출
저항 소유와 수동성, 착취로부터의 해방
간결함 당신에게는 몇 개의 의자가 필요한가요
치유 ‘녹색 손가락’을 꿈꾸며
희망 그저 거기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찬 기쁨
미래 1 자본 바깥의 삶(스콧 니어링과 헨렌 니어링)
미래 2 지금 실현가능한 작은 유토피아(타샤 튜더)
미래 3 또 하나의 월든을 창조한 사람(베아트릭스 포터)
야생성 도시인이 잃어버린 원초적 생명력
은둔 명랑한 은둔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2부 더 나은 삶을 위해 『월든』 속으로 걸어가다
월든의 생활경제_ 의식주를 독립적으로 해결하기
월든의 인문학_ 삶의 시간을 아름답게 수놓는 법
월든의 윤리학_ 단 한 번뿐인 삶을 나답게
월든의 생태학_ 자연과 공생하는 삶을 꿈꾸며
에필로그_ 『월든』을 읽을 때마다, 우리는 강해진다
작가의 말_ 소로와 함께 생각의 오솔길을 걷다
소유는 간결하게, 삶은 풍요롭게!
위대한 삶의 혁명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불멸의 고전 『월든』을 통해
세상에 휩쓸리지 않고 나를 지키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50만 독자가 사랑한 작가 정여울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처럼 도심 속 일상에서 자신만의 주체적이고 건강하며 자연친화적인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한 흔적을 담은 에세이다. 더불어 직접 소로의 고향인 콩코드 지역과 월든 호수를 다녀온 기록을 생생한 사진으로 담아내 소로의 흔적과 정취를 느껴볼 수 있다.
150년이 넘도록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소로의 대표작 『월든』은 소로가 1847년부터 2년 2개월간 월든 호수 근처에 오두막을 짓고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재화만으로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개인으로 살아가는 삶을 담은 기록이다. 콘크리트로 점철된 도시에서 무한 경쟁에 내몰리며 과도한 노동과 불필요한 소비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볼 틈도 없이 살았던 저자는 『월든』을 통해 단 한 번뿐인 소중한 삶을 어떻게 나답고 진정성 있게 살아갈 것인지 깨달아 간다. 더불어 자연과 공생하며 살아간 소로의 삶을 살펴보며 심각한 기후위기에 직면한 오늘날 덜 먹고, 덜 쓰고, 덜 버리는 생활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이 책은 익숙하지만 쉽게 완독하기 어려웠던 고전 『월든』을 정여울 작가만의 섬세한 언어로 풀어내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살면서 마주하는 수많은 난제를 소로의 문장을 빌려 풀어보고, 삶의 균형을 지키며 살아가는 소로의 삶의 방식을 정여울 작가의 깊은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내가 숲으로 들어간 이유는 삶의 빛나는 정수만을 간절히 체험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_ 헨리 데이비드 소로
처음으로 자기만의 월세방을 갖게 된 날, 고독을 필요로 했지만 그것이 삭막함으로 연결되자 당황스러웠던 저자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뜰이나 정원이 없는 공간에서 비로소 『월든』이 진정으로 마음의 문을 두드렸다고 고백한다.
자칫 홀로 숲으로 들어간 괴짜, 현실로부터 일탈한 자로 오해받기 쉬운 소로는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삶과 사람을 사랑했던 이였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소로의 삶을 찬찬히 깊게 들여다보고 소로의 문장 하나하나를 애틋하게 아끼는 저자 특유의 감성이 짙게 묻어난다. 본문 곳곳에는 저자가 직접 다녀온 콩코드와 월든 호수의 풍경, 소로와 관련된 굿즈 사진 70여 장이 배치되어 생생한 현장감과 흥미를 더한다. 마치 정여울 작가가 월든 호수로 떠난 여정을 독자가 함께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기에 책을 덮고 나도 따듯한 여운이 남는다.
크게 2부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저자는 두 가지 방식의 『월든』 읽기를 시도한다. 1부에서는 열정, 용기, 고독, 존엄, 자유, 저항, 간결함, 치유, 희망 등 소로가 추구했던 삶의 가치를 저자 자신의 이야기와 교차하며 진솔하게 담아낸다. 2부에서는 생활경제, 인문학, 윤리학, 생태학의 네 가지 방향에서 『월든』의 문장을 직접 번역해 인용하면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소로의 말이 유효한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소로는 ‘자발적 가난’과 ‘자발적 은둔’이 우리에게 창조적 기쁨과 진정한 자유를 준다고 말한다.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는 현대인을 향해 소로는 소비를 향한 욕망 자체로부터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기를 권한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쉴 새 없이 접하는 정보에 중독되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 삶을 허비하는 우리들에게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적극적인 고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로는 자신의 꿈을 스스로 정하고 그 꿈을 따라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데는 타인의 조언이 아니라 오직 자기 자신과의 대면만이 필요함을 알았다. 그것이 바로 소로 식의 명랑한 고독, 창조적 고독”이다.(본문 204쪽) 월든 오두막을 통해 적정량의 고독을 쟁취해 낸 소로처럼 이 책은 독자들이 명랑한 은둔과 자발적 가난으로 자본 바깥의 삶, 자신만의 가능성과 존엄을 지킬 수 있는 삶을 지향하는 데 길벗이 되어줄 것이다.
위대한 삶의 혁명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불멸의 고전 『월든』을 통해
세상에 휩쓸리지 않고 나를 지키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50만 독자가 사랑한 작가 정여울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처럼 도심 속 일상에서 자신만의 주체적이고 건강하며 자연친화적인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한 흔적을 담은 에세이다. 더불어 직접 소로의 고향인 콩코드 지역과 월든 호수를 다녀온 기록을 생생한 사진으로 담아내 소로의 흔적과 정취를 느껴볼 수 있다.
150년이 넘도록 최고의 고전으로 꼽히는 소로의 대표작 『월든』은 소로가 1847년부터 2년 2개월간 월든 호수 근처에 오두막을 짓고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재화만으로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개인으로 살아가는 삶을 담은 기록이다. 콘크리트로 점철된 도시에서 무한 경쟁에 내몰리며 과도한 노동과 불필요한 소비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볼 틈도 없이 살았던 저자는 『월든』을 통해 단 한 번뿐인 소중한 삶을 어떻게 나답고 진정성 있게 살아갈 것인지 깨달아 간다. 더불어 자연과 공생하며 살아간 소로의 삶을 살펴보며 심각한 기후위기에 직면한 오늘날 덜 먹고, 덜 쓰고, 덜 버리는 생활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이 책은 익숙하지만 쉽게 완독하기 어려웠던 고전 『월든』을 정여울 작가만의 섬세한 언어로 풀어내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살면서 마주하는 수많은 난제를 소로의 문장을 빌려 풀어보고, 삶의 균형을 지키며 살아가는 소로의 삶의 방식을 정여울 작가의 깊은 시선과 목소리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내가 숲으로 들어간 이유는 삶의 빛나는 정수만을 간절히 체험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_ 헨리 데이비드 소로
처음으로 자기만의 월세방을 갖게 된 날, 고독을 필요로 했지만 그것이 삭막함으로 연결되자 당황스러웠던 저자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뜰이나 정원이 없는 공간에서 비로소 『월든』이 진정으로 마음의 문을 두드렸다고 고백한다.
자칫 홀로 숲으로 들어간 괴짜, 현실로부터 일탈한 자로 오해받기 쉬운 소로는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삶과 사람을 사랑했던 이였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는 소로의 삶을 찬찬히 깊게 들여다보고 소로의 문장 하나하나를 애틋하게 아끼는 저자 특유의 감성이 짙게 묻어난다. 본문 곳곳에는 저자가 직접 다녀온 콩코드와 월든 호수의 풍경, 소로와 관련된 굿즈 사진 70여 장이 배치되어 생생한 현장감과 흥미를 더한다. 마치 정여울 작가가 월든 호수로 떠난 여정을 독자가 함께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기에 책을 덮고 나도 따듯한 여운이 남는다.
크게 2부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저자는 두 가지 방식의 『월든』 읽기를 시도한다. 1부에서는 열정, 용기, 고독, 존엄, 자유, 저항, 간결함, 치유, 희망 등 소로가 추구했던 삶의 가치를 저자 자신의 이야기와 교차하며 진솔하게 담아낸다. 2부에서는 생활경제, 인문학, 윤리학, 생태학의 네 가지 방향에서 『월든』의 문장을 직접 번역해 인용하면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소로의 말이 유효한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한다.
소로는 ‘자발적 가난’과 ‘자발적 은둔’이 우리에게 창조적 기쁨과 진정한 자유를 준다고 말한다.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는 현대인을 향해 소로는 소비를 향한 욕망 자체로부터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하기를 권한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쉴 새 없이 접하는 정보에 중독되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 삶을 허비하는 우리들에게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적극적인 고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로는 자신의 꿈을 스스로 정하고 그 꿈을 따라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데는 타인의 조언이 아니라 오직 자기 자신과의 대면만이 필요함을 알았다. 그것이 바로 소로 식의 명랑한 고독, 창조적 고독”이다.(본문 204쪽) 월든 오두막을 통해 적정량의 고독을 쟁취해 낸 소로처럼 이 책은 독자들이 명랑한 은둔과 자발적 가난으로 자본 바깥의 삶, 자신만의 가능성과 존엄을 지킬 수 있는 삶을 지향하는 데 길벗이 되어줄 것이다.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_ 서랍에 월든을 숨겨두다
들어가기 전에_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생애
1부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열정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따스한 사랑
산책 걷고 또 걸음으로써 치유되는 마음
용기 어제까지의 낡은 인생과 작별하다
고독 도시인의 고독이 쓰라리고 아픈 이유
거리두기 감정노동을 반복하는 삶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권리
친구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
존엄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기
자기 집중 눈물수집가: 내 직업에 새로운 이름을 짓다
자기 발견 나 자신과 만나려는 모든 실험
해방 ‘스펙과 프로필’ 감옥으로부터의 탈출
저항 소유와 수동성, 착취로부터의 해방
간결함 당신에게는 몇 개의 의자가 필요한가요
치유 ‘녹색 손가락’을 꿈꾸며
희망 그저 거기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찬 기쁨
미래 1 자본 바깥의 삶(스콧 니어링과 헨렌 니어링)
미래 2 지금 실현가능한 작은 유토피아(타샤 튜더)
미래 3 또 하나의 월든을 창조한 사람(베아트릭스 포터)
야생성 도시인이 잃어버린 원초적 생명력
은둔 명랑한 은둔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2부 더 나은 삶을 위해 『월든』 속으로 걸어가다
월든의 생활경제_ 의식주를 독립적으로 해결하기
월든의 인문학_ 삶의 시간을 아름답게 수놓는 법
월든의 윤리학_ 단 한 번뿐인 삶을 나답게
월든의 생태학_ 자연과 공생하는 삶을 꿈꾸며
에필로그_ 『월든』을 읽을 때마다, 우리는 강해진다
작가의 말_ 소로와 함께 생각의 오솔길을 걷다
프롤로그_ 서랍에 월든을 숨겨두다
들어가기 전에_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생애
1부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열정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따스한 사랑
산책 걷고 또 걸음으로써 치유되는 마음
용기 어제까지의 낡은 인생과 작별하다
고독 도시인의 고독이 쓰라리고 아픈 이유
거리두기 감정노동을 반복하는 삶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권리
친구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
존엄 나만의 속도로 살아가기
자기 집중 눈물수집가: 내 직업에 새로운 이름을 짓다
자기 발견 나 자신과 만나려는 모든 실험
해방 ‘스펙과 프로필’ 감옥으로부터의 탈출
저항 소유와 수동성, 착취로부터의 해방
간결함 당신에게는 몇 개의 의자가 필요한가요
치유 ‘녹색 손가락’을 꿈꾸며
희망 그저 거기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찬 기쁨
미래 1 자본 바깥의 삶(스콧 니어링과 헨렌 니어링)
미래 2 지금 실현가능한 작은 유토피아(타샤 튜더)
미래 3 또 하나의 월든을 창조한 사람(베아트릭스 포터)
야생성 도시인이 잃어버린 원초적 생명력
은둔 명랑한 은둔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2부 더 나은 삶을 위해 『월든』 속으로 걸어가다
월든의 생활경제_ 의식주를 독립적으로 해결하기
월든의 인문학_ 삶의 시간을 아름답게 수놓는 법
월든의 윤리학_ 단 한 번뿐인 삶을 나답게
월든의 생태학_ 자연과 공생하는 삶을 꿈꾸며
에필로그_ 『월든』을 읽을 때마다, 우리는 강해진다
작가의 말_ 소로와 함께 생각의 오솔길을 걷다